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362

KVM 스위치 개념 , 구성 , 사용이유 이번 시간에는 전산실 Rack 안에 있는 많은 서버들을 세팅하고 확인할 때 사용하는 KVM 스위치가 무엇인지, 구성은 어떻게 하고 왜 사용하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KVM 스위치란? 전산실을 다니다보면 Rack을 많이 보게 됩니다. 그 Rack 안에는 많은 서버들이 Mount가 되어있죠. 예를 들어 하나의 Rack안에 6대의 서버가 장착이 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우리는 저 서버들에 접속해서 세팅을 하던지 , 프로그램이라도 깔려고 하면 , 모니터+키보드+마우스가 필요하겠죠? 그럼 6대를 다 하려면 하나의 모니터+키보드+마우스를 가지고 연결되는 케이블들을 서버들에 갈아 끼우는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할 겁니다. 생각만 해도 귀찮고 짜증 나죠?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K.. 2021. 3. 19.
NTP 서버 - 개념 및 구성 , 동작 원리 전산실이나 전산 장비들에 이벤트가 발생 시 장애처리를 위한 log 시간 확인은 가장 중요한 일 중에 하나입니다.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네트워크에서 장비들의 시간을 동기화시켜주는 NTP 서버의 개념 및 구성하는 방식 , 동작원리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NTP 서버 ( Network Time Protocol ) : 네트워크로 구성된 환경에서 운영되는 시스템들의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규약입니다.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들이 NTP서버를 통해 시간을 받아와서 , 정확하게 맞는 시간을 같기 위해 설치합니다. 서버라고 하면 헷갈릴수 있으니 " 시각동기화 장치"라고도 부릅니다. ★ NTP서버를 사용하는 이유 : 일반적으로 전산실에서 서버나 네트워크 모든 장비들을 자체적으로 시간을 설정하는데, 이렇게 .. 2021. 3. 18.
서브넷팅 & 슈퍼넷팅 개념 및 쉬운 계산 방법 이번 시간에는 서브넷팅과 슈퍼넷팅의 개념 및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서브넷 마스크를 잘 이해하는 것이야 말로 IP주소를 확실히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. 일단 말뜻 그대로 서브. 즉 메인이 아닌 어떤 가공을 통한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서 씌우는 마스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다시 말해서 우리가 일단 어떤 IP주소를 배정받게 되면 보통은 이 주소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. 예를 들어 클래스 B주소를 받았습니다. 이걸 그냥 사용할 수 있을까요? 하나의 네트워크가 65,000개의 호스트를 가지는데 이렇게 큰 네트워클 구성했다간 브로드케스트 영향이 너무 많아서 아마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겁니다. 따라서 나누어 써야 하는 거죠. 고기를 자를때 칼을 쓰듯이 IP주소를 자를 때는 서.. 2021. 3. 18.
IP Address v6 - 표현 방식 , 특징 , 장.단점 이번 시간에는 IP V4를 대체할 IPv6에 대한 표현 방식 , 특징 , 장. 단점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우리 IT에서 언제쯤 자유로운 사용이 가능할지 궁금하지만 , 그 시기가 오기 전에 미리 공부해 봅시다. 1. IP Address v6 주소 표현 현재 사용중인 IPv4 Address 표현 32Bit = 42억 개 IPv6 Address Space 128Bit = 42억X42억X42억X42억 IPv6의 특징 요약 - Global 가능성 : IPv6 network과 연계될 모든 Device들에게 IP 주소 할당 가능 - Multiple Level의 계층화된 주소 체계 사용 가능 - 보다 효과적이고 확장성이 보장된 Aggregation이 가능하다. - Multiple Address 사용 가능 : 호.. 2021. 3. 18.
IP address v4 주소 & v6 주소 - 쉽고 빠르게 이해하기 이번 시간에는 IP address v4 / IPv6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각 장치를 구별하기 위해 TCP/IP 프로토콜 모음의 IP계층에서 사용하는 식별자를 인터넷 주소(Internet) 주소 또는 IP Address라고 부릅니다. 1. IP Address v4 주소 - 크기 : 32Bit (2^32개= 대략 43억개) - 2011년에 모두 고갈 되었음 - A , B , C , D , E 클래스 A Class (0~127) : 맨 앞에 비트가 '0'인 공통 비트 클래스 0.0.0.0 ~ 127.255.255.255 기본 서브넷 마스크 : 255.0.0.0 0 000000 0 1111111 네트워크 아이디당 IP 주소 : 2^24개(16,777,216개) B Cl.. 2021. 3. 17.
IP Address 개념 및 공인/사설 IP 설명 및 구분하는 방법 이번 시간에는 네트워크 통신에 있어서 기초 중에 기초인 IP addres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우선 IPv4에 대해서 알아보고 , IPv6는 차후에 다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 1. IP Address 모든 장치들 간에 전 세계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들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해서 , 만든 것이 IP Address입니다. IP Address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각종 개별 호스트나 네트워크 장비를 유일하게 구별하는 주소로 각 국가와 지역에서 유일하게 붙이는 집 주소와 같은 역할을 수행 IP Address - IPv4 : 현재 사용중인 IP 체계 , 32비트로 운영 (ex : 192.168.10.1) , 약 42억 개의 주소 - IPv6 : .. 2021. 3. 16.
3Com 스위치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이번 시간에는 3Com 스위치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3COM 스위치의 CLI는 User 모드, Privileged 모드 , Interface Configuration 모드로 총 3가지 각각의 모드는 3COM 스위치의 설정과 유지,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을 가집니다. 사용자는 해당 모드에서 “?”을 입력하면 사용 가능한 명령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. 1. 3Com 스위치 명령어 확인 명령모드 접속방법 프롬프트 나가기 User 일반 사용자 접속 Switch> quit 명령어 사용 privileged 관리자 접속 Switch] quit 명령어 사용 1. 장비에 접속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통신 설정 [ Switch 7754 , 7758 ] [ Swi.. 2021. 3. 16.
허브 & 스위치 동작원리 및 차이점 이번 시간에는 허브와 스위치의 동작원리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제는 허브라는 게 없어지긴 했지만 그래도 네트워크를 하는 엔지니어라면 허브와 스위치의 동작원리와 그 차이점 정도는 알고 계시는 게 맞겠죠?  왜냐하면 여기에 기본 이론이 많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이걸 이해하시는 분들은 그래도 이론이 탄탄하다고 생각하시면 좋겠네요.  1. 허브  - OSI 7Layer중 1 Layer에 해당되는 장비 - 스위치가 나오기 전에 사용하던 장비 (현재는 찾아보기도 힘듦)- 이더넷 CSMA/CD 방식을 사용 (동시에 여러사용자의 사용이 불가하고 , 1명만 사용이 가능)  ★ 동작원리 (깊게 생각하면서 천천히 읽어보세요) 자! 24포트짜리 허브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해 보려 합니다. 1번 포트에서 .. 2021. 3. 16.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