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363

허브 & 스위치 동작원리 및 차이점 이번 시간에는 허브와 스위치의 동작원리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제는 허브라는 게 없어지긴 했지만 그래도 네트워크를 하는 엔지니어라면 허브와 스위치의 동작원리와 그 차이점 정도는 알고 계시는 게 맞겠죠?  왜냐하면 여기에 기본 이론이 많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이걸 이해하시는 분들은 그래도 이론이 탄탄하다고 생각하시면 좋겠네요.  1. 허브  - OSI 7Layer중 1 Layer에 해당되는 장비 - 스위치가 나오기 전에 사용하던 장비 (현재는 찾아보기도 힘듦)- 이더넷 CSMA/CD 방식을 사용 (동시에 여러사용자의 사용이 불가하고 , 1명만 사용이 가능)  ★ 동작원리 (깊게 생각하면서 천천히 읽어보세요) 자! 24포트짜리 허브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해 보려 합니다. 1번 포트에서 .. 2021. 3. 16.
IPSCAN 장비란? 사용하는 이유와 효과 이번 시간에는 Ipscan이라는 장비가 무엇이며 , 어디에 사용하고 어떤 동작을 하는 장비인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IPSCAN 이란? 보안이 이슈가 되면서 회사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관리자들은 보안 이슈에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. 아무리 보안을 잘한다고 해도 , 대부분의 성공적인 공격은 내부자들에 의해서 발생합니다. 네트워크 내부 관리자로써 , 내부 직원뿐만 아니라 외부 직원들도 모두 관리를 해야 하지만 그 많은 인원들을 일일이 관리하기란 쉬운 일은 아니죠? IPCSAN은 전산 관리자가 네트워크를 관리하는데 있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IP/MAC 자원관리 및 Agentless 접근제어 설루션입니다. 관리자들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모든 장비 현황을 모니터링.. 2021. 3. 15.
서버 티밍(teaming) & 본딩 (bonding) - 서버 랜카드 이중화 방식 이번 시간에 알아볼 내용은 서버 랜카드 이중화 기술인 티밍(Teaming)과 본딩(bonding)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전산실 구축 작업을 하다 보면 네트워크만 있는 게 아니고 서버도 같이 연계되어 구축하게 됩니다.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서버 엔지니어와 같이 작업을 진행하게 될 때도 많이 생깁니다. 네트워크 엔지니어는 서버와 일할때 충돌과 마찰이 생기는 일도 많이 일어난답니다. 서버는 문제없는데 통신이 안된다~네트워크는 이상 없다. 서버 문제다 ~이런 식으로 요.^^ 이런 충돌을 줄이기 위해서는 디테일하게는 알지 못하더라도 서버의 네트워크 연계된 부분에 대해서는 당연히 알고 있는 게 도움이 되겠죠. 1. 서버 티밍 (teaming) : 쉽게 말하면 Windows 서버 랜카드 이중화하는 기술 여러.. 2021. 3. 15.
ARP 개념 및 동작원리 이번 시간에는 ARP가 무엇인지와 동작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. 우선 ARP를 설명드리기 전에 밑에 두 개의 주소가 의미하는 것을 기억하세요. 논리 주소 = IP 주소 물리 주소 = 로컬 주소(MAC Address) 1. ARP ( Address Resolution Protocol ) 개념 ARP란? : 논리적인 주소 (IP Address)를 물리적인 주소 (MAC Address)로 변환하는 작업 - 통신할 단말이 물리주소를 필요로 할 때 동작 순서 (ARP가 동작하는 순서) 1. ARP 요청 (Request) : 송신자는 본인의 출발지 MAC + 출발지 IP + 목적지 IP의 정보로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PC들로 ARP 요청을 Broadcast 시킵니다. 2. 네트워크에 연결되.. 2021. 3. 15.
프로토콜 (Protocol) 개념과 통신 방식 3가지(uni/multi/broadcast) 이번 시간에는 네트워크에서 말하는 프로토콜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고 , 3가지 통신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unicast / multicast / broadcast 다들 많이 들어본 방식일 텐데 , 이게 어떤 걸 뜻하는지 모르시는 분들 이것도 기본 중에 기본이니 숙지하시기 바랍니다. 1. 프로토콜이란? (Protocol) 프로토콜의 사전적 의미는 " 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"입니다. 더 쉽게 설명하면 A라는 홍길동과 B라는 장동건이 서로 대화를 하기 위해서 영어 or 한국어 or 일본어 등 그중에 하나의 언어를 골라서 서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언어로 맞춰서 대화하자는 하나의 약속입니다. 홍길동은 영어로 말하는데 , 장동건은 한국어로.. 2021. 3. 14.
알카텔 스위치 -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이번 시간에는 알카텔 스위치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알카텔 스위치는 CLI에서 sh run 처럼 명령어를 치시면 안되고 Full name을 다 쳐주셔야 명령어가 적용이 되니 꼭 명심하고 실행하세요. 1. 알카텔 스위치 명령어 1. 기본 계정과 password User = admin Password = switch 2. Switch system time과 timezone 설정 ->system timezone kst ->system time HH:MM:SS ->system time-and-date synchro : CMM redundancy 구성인 경우 ->show system 3. Switch의 Reboot ->reload ->reload working no rollback-timeo.. 2021. 3. 13.
TCP & UDP 개념 설명 및 차이점 이번 시간에는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중 TCP & UDP에 대한 개념 및 동작 원리 ,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 부분도 기본 중에 기본이니 확실하게 이해하고 가시기 바랍니다. 1. TCP ( Transmission Contorol Protocol ) : 신뢰성 있는 프로토콜 통신을 하기 전 3-way handshaking을 통해서 연결 설정을 맺고 , 연결을 끝낼 때도 4-way handshaking을 통해서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뢰성이 있는 프로토콜이라고 부릅니다. ★ 3-way handshaking - 서버와 클라이언트 (Host A와 Host B) : 클라이언트인 Host_A가 Host_B와 통신하고자 할 때 그냥 통신하는 것이 아니고 3가지 단계를 거쳐 통신 연결을.. 2021. 3. 13.
네트워크 엔지니어 하는일 , 장.단점 (필드 엔지니어가 말한다) 회사에서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구하기 위해 면접을 보다 보니 , 특히 신입사원들은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정확하게 어떤 일을 하며 ,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많이 모르는 것 같았습니다.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필드 엔지니어 10년 차인 제가 네트워크 필드 엔지니어에 대해 현실적으로 말해보려 합니다. 모르는 사람들한테 네트워크 엔지니어라고 하면 , 보통 인터넷기사나 컴퓨터 잘하는 사람으로 이해를 합니다. 틀린 소리는 아니지만 아놔~~ 이런 소리 들을 때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좋을지 답답하기만 했죠. 보통 네트워크 엔지니어라고 하면 , 본인 회사의 내부 시스템만 운영하는 엔지니어와 많은 기업을 돌아다니며 , 일을 하는 필드 엔지니어로 나눌 수 있습니다. 1. 네트워크 필드 엔지니어 하는 일 1. 장비 설치.. 2021. 3. 13.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