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63 허브 & 스위치 동작원리 및 차이점 이번 시간에는 허브와 스위치의 동작원리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제는 허브라는 게 없어지긴 했지만 그래도 네트워크를 하는 엔지니어라면 허브와 스위치의 동작원리와 그 차이점 정도는 알고 계시는 게 맞겠죠? 왜냐하면 여기에 기본 이론이 많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이걸 이해하시는 분들은 그래도 이론이 탄탄하다고 생각하시면 좋겠네요. 1. 허브 - OSI 7Layer중 1 Layer에 해당되는 장비 - 스위치가 나오기 전에 사용하던 장비 (현재는 찾아보기도 힘듦)- 이더넷 CSMA/CD 방식을 사용 (동시에 여러사용자의 사용이 불가하고 , 1명만 사용이 가능) ★ 동작원리 (깊게 생각하면서 천천히 읽어보세요) 자! 24포트짜리 허브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해 보려 합니다. 1번 포트에서 .. 2021. 3. 16. IPSCAN 장비란? 사용하는 이유와 효과 이번 시간에는 Ipscan이라는 장비가 무엇이며 , 어디에 사용하고 어떤 동작을 하는 장비인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IPSCAN 이란? 보안이 이슈가 되면서 회사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관리자들은 보안 이슈에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. 아무리 보안을 잘한다고 해도 , 대부분의 성공적인 공격은 내부자들에 의해서 발생합니다. 네트워크 내부 관리자로써 , 내부 직원뿐만 아니라 외부 직원들도 모두 관리를 해야 하지만 그 많은 인원들을 일일이 관리하기란 쉬운 일은 아니죠? IPCSAN은 전산 관리자가 네트워크를 관리하는데 있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IP/MAC 자원관리 및 Agentless 접근제어 설루션입니다. 관리자들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모든 장비 현황을 모니터링.. 2021. 3. 15. 서버 티밍(teaming) & 본딩 (bonding) - 서버 랜카드 이중화 방식 이번 시간에 알아볼 내용은 서버 랜카드 이중화 기술인 티밍(Teaming)과 본딩(bonding)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전산실 구축 작업을 하다 보면 네트워크만 있는 게 아니고 서버도 같이 연계되어 구축하게 됩니다.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서버 엔지니어와 같이 작업을 진행하게 될 때도 많이 생깁니다. 네트워크 엔지니어는 서버와 일할때 충돌과 마찰이 생기는 일도 많이 일어난답니다. 서버는 문제없는데 통신이 안된다~네트워크는 이상 없다. 서버 문제다 ~이런 식으로 요.^^ 이런 충돌을 줄이기 위해서는 디테일하게는 알지 못하더라도 서버의 네트워크 연계된 부분에 대해서는 당연히 알고 있는 게 도움이 되겠죠. 1. 서버 티밍 (teaming) : 쉽게 말하면 Windows 서버 랜카드 이중화하는 기술 여러.. 2021. 3. 15. ARP 개념 및 동작원리 이번 시간에는 ARP가 무엇인지와 동작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. 우선 ARP를 설명드리기 전에 밑에 두 개의 주소가 의미하는 것을 기억하세요. 논리 주소 = IP 주소 물리 주소 = 로컬 주소(MAC Address) 1. ARP ( Address Resolution Protocol ) 개념 ARP란? : 논리적인 주소 (IP Address)를 물리적인 주소 (MAC Address)로 변환하는 작업 - 통신할 단말이 물리주소를 필요로 할 때 동작 순서 (ARP가 동작하는 순서) 1. ARP 요청 (Request) : 송신자는 본인의 출발지 MAC + 출발지 IP + 목적지 IP의 정보로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PC들로 ARP 요청을 Broadcast 시킵니다. 2. 네트워크에 연결되.. 2021. 3. 15. 이전 1 ··· 82 83 84 85 86 87 88 ··· 9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